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에너지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태양광) 기사 필기 공부 #6 목차 1.3.7 저압 계통접지의 방식 (1) 계통접지 구성 (2) TN계통 (3) TT계통 (4) IT계통 1.3.15 분산형 전원설비 (1) 분산형전원 계통 연계설비의 시설 1.3.16 특정 기술을 이용한 전기저장장치의 시설 (1) 적용범위 (2) 전용건물에 시설하는 경우 (시설장소의 요구사항) (3) 전용건물 이외의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시설장소의 요구사항) (4) 제어 및 보호장치 등 1.3.17 태양광발전설비 (1) 설치장소의 요구사항 (2) 설비의 안전 요구사항 (3) 옥내전로의 대지전압 제한 (4) 태양광설비 간선의 전기배선 (5) 태양광설비의 시설기준 (6) 제어 및 보호장치 등 1.3.7 저압 계통접지의 방식 (1) 계통접지 구성 1) 분류 ① TN 계통 ② TT 계통 ③ IT 계통 2).. 더보기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태양광) 기사 필기 공부 #5 ▷ 전기설비기술기준 ● 목적 전기설비기술기준은 발전·송전·변전·배전 또는 전기사용을 위하여 시설하는 기계·기구·전선로·보안통신선로 그 밖의 시설물의 안전에 필요한 성능과 기술적 요건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용어의 정의 ○ 발전소 : 발전기·원동기·연료전지·태양전지·해양에너지발전설비·전기저장장치 그 밖의 기계기구를 시설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곳 ○ 변전소 : 변전소의 밖으로부터 전송받은 전기를 변전소 안에 시설한 변압기·전동발전기·회전변류기·정류기 그 밖의 기계기구에 의하여 변성하는 곳으로서 변성한 전기를 다시 변전소 밖으로 전송하는 곳 ○ 개폐소 : 개폐소 안에 시설한 개폐기 및 기타 장치에 의하여 전로를 개폐하는 곳으로서 발전소·변전소 및 수용장소 이외의 곳 ○ 급전소 : 전력계통의 운용에 관한 .. 더보기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태양광) 기사 필기 공부 #4 ▷구조계산서 ● 구조물 구조계산 ○ 힘과 부재 응력 ① 힘 ② 반력검토 : ∑ V = 0, ∑ H = 0, ∑ M = 0 ⓐ 지점반력(Reaction Force) : 힘의 균형조건(외력), ∑ F = 0 ⓑ 전단력(Shearing Force) : 외력의 힘에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 ⓒ 휨 모멘트(Bending Moment) : 외력에 부재가 휘어지게 하는 힘(- 압축 / + 인장) ③ 부재응력검토 : σ = 1.0이하 ⓐ 압축, 인장, 전단응력(σ) = N(축방향력) / A(부재단면적) ⓑ 휨 모멘트(σ) = M(모멘트) / Z(부재단면계수) ○ 풍하중 계산 ① 설계속도압 : 기준높이 H에서의 설계속도압(qH)은 다음 식으로 산정한다. ② 설계풍속 ③ 기본풍속 : 기본풍속 V0는 지표면상태가 .. 더보기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태양광) 기사 필기 공부 #3 ▶ 태양광발전 경제성 분석 ▷사업비 ● 발전원가 계산 ● 공사원가계산서 * 공구손료 = 직접인건비(할증 전) * 3 [%] : 간접재료비에 포함 * 간접노무비 = 직접노무비 * 간접노무비율 ▶ 태양광발전량 분석 ▷부하설비용량 ● 적정 FACTOR 적용 ▷전력설비 손실 ● 배전선로 손실 ① 저항손(전력손실) : 배전선로의 손실 중 가장 큰 손실이다. ② 시스손 : 도전성 외장(sheath)을 갖는 케이블 시스에 와전류로 유도된 전류와 시스저항에 의한 손실 ③ 유전체손 : 유전체 중의 쌍극자의 배향에 의한 흡수전류(전도전류)에 의한 것으로 교번전계에 의해 발전되는 손실 ④ 배전선로 손실저감 방법 : 동일 용량의 전력을 송 배전 하는 경우 전압을 높여 전류를 낮추거나, 전선의 단면적을 키워 저항을 저감한다. .. 더보기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태양광) 기사 필기 공부 #2 ▶ 접속함 : 태양전지 어레이와 파워컨디셔너 사이에 설치 ; 보수 점검 시 회로를 분리하거나 점검의 편리성을 위해 설치 - 접속함에는 ① 태양전지 어레이측 개폐기, ② 주 개폐기, ③ 서지보호장치(SPD), ④ 역류방지 소자, ⑤ 출력용 단자대, ⑥ 감시용 DCCT(Shunt), DCVT, T/D(transducer) 또는 Multi power transducer 등을 설치한다. ▶ 교류측 기기 1. 분전반 : 한전배전계통과 계통 연계하는 경우에 파워컨디셔너의 교류출력을 계통으로 접속할 때 사용하는 차단기를 수납하는 함체 2. 차단기 1) 차단기(Breaker) ① 고장전류를 신속히 차단하여 기기 보호 및 안전 유지 ② 부하전류의 안전통전 및 개폐 2) 개폐기(Switch) ① 평상시 부하전류가 흐르는 .. 더보기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태양광) 기사 필기 공부 #1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와 실리콘 기반 투명 태양전지의 비교 구 분 개 요 연료감응형 태양전지 * 1991년에 스위스 Gratzel Group이 최초로 개발 * 나노입자에 흡착된 염료에 의해 광기전력 발생 * 재료 가격이 저렴하고 제조공정이 단순함 * 약 15[%] 대의 변환효율 * 전해질 누설 등에 따라 화학적 안정성이 낮음 * 수명이 짧음 * 대면적화가 어려움 (대면적화 : 한 번에 많이 만들 수 있도록 넓은 면적의 기판을 사용하는 것) 실리콘 기반 투명태양전지 * 실리콘 박막을 흡수층으로 사용하면서 패터닝을 이용하여 흡수층 및 후면전극을 개방함으로써 가시광선 투과율을 확보 * 투과율이 높을수록 변환효율이 감소 * 최종 변환효율은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의 변환효율은 개방되지 않은 면적의 비율을 곱한 값임.. 더보기
신재생에너지 정의 및 종류 안녕하세요! 에너지 전환 시대를 맞이하여 신재생에너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신재생에너지 정의 2. 신재생에너지 특징 3. 신재생에너지 종류 전 세계적으로 많은 국가들이 탄소중립을 선언하며 청정 에너지 전환을 이룩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또한 2050 탄소중립을 실현하고자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주에너지원이 될 신재생에너지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1. 신재생에너지 정의 (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촉진법’ 제2조 ) 1) 신재생에너지 = 신에너지 + 재생에너지 ① 신에너지 :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수소, 산소 등의 화학 반응을 통하여 전기 또는 열을 이용하는 에너지 : 연료전지, 수소, 석탄액화 · 가스화 및 중질..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