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너지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태양광) 기사 필기 공부 #3

728x90
반응형

▶ 태양광발전 경제성 분석

  ▷사업비

    발전원가 계산

  

  ●  공사원가계산서

* 공구손료 = 직접인건비(할증 전) * 3 [%] : 간접재료비에 포함

* 간접노무비 = 직접노무비 * 간접노무비율

 

▶ 태양광발전량 분석

  ▷부하설비용량

    적정 FACTOR 적용

  ▷전력설비 손실

  ● 배전선로 손실

    ① 저항손(전력손실) : 배전선로의 손실 중 가장 큰 손실이다.

    ② 시스손 : 도전성 외장(sheath)을 갖는 케이블 시스에 와전류로 유도된 전류와 시스저항에 의한 손실

    ③ 유전체손 : 유전체 중의 쌍극자의 배향에 의한 흡수전류(전도전류)에 의한 것으로 교번전계에 의해 발전되는 손실

    ④ 배전선로 손실저감 방법 : 동일 용량의 전력을 송 배전 하는 경우 전압을 높여 전류를 낮추거나, 전선의 단면적을 키워 저항을 저감한다.

 

   변압기의 손실

    ① 변압기 손실 = 무부하손실(철손) + 부하손실(동손)

    ② 무부하손실 = 단위시간당 무부하손실 [W/h] * 365 [일] * 24 [시간]

    ③ 부하손실 = 단위시간당 부하손실 [W/h] * 365 [일] * ∑ (부하율^2 * 가동시간)

 

  ▷태양광발전시스템 이용률 등

  ● 태양광발전시스템 이용률

  ● 부지(대지) 이용률

    ① 모듈의 이격거리에 대한 모듈의 길이의 비를 대지(부지)이용률이라고 한다.

    ② 경사각을 낮출수록 대지이용률은 증가한다.

 

▶ 태양광발전 구조물 설계

  ▷구조물 기초

  ● 태양광발전 어레이용 가대 및 구조물의 구성요소

    ① 가대 : 프레임(수평부재, 수직부재), 지지대, 기초판

    ② 구조물 : 프레임, 지지대, 기초판, 앵커볼트, 기초 

   

  ● 가대의 구성부재 선정 시 고려사항

    ① 염해, 공해 등을 고려 부식(녹)이 발생하지 않을 것

    ② 최소 20년 이상의 내구성을 가질 것

    ③ 어레이의 자체하중에 풍압하중을 더한 하중에 견딜 수 있을 것

    ④ 어레이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할 것

    ⑤ 절삭 등 가공이 쉽고 가벼울 것

    ⑥ 수급이 용이하고 경제적일 것

    ⑦ 불필요한 가공을 피할 수 있도록 규격화되어 있을 것

    ⑧ 부재의 접합은 볼트 접합, 용접 접합 및 이들과 동등 이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한다.

 

  ● 가대의 재질

    * 가대에 사용되는 재질의 종류와 특징

가대의 종류 가격 특징 장점 단점
강제 + 도장 저가 도료의 재질에 따라 내후성이 다름 경제성 5~10년 주기로 재도장
강제 + 용융아연도금 중가 철의 10배 이상의 내식성 비교적 저렴
장시간 사용
부분 녹 발생
스테인리스(SUS) 고가  니켈, 크롬 합금 경량, 내식성 우수 고가
알루미늄 합금제 중가 경량 시공성 우수 강도가 다소 약한, 부식

   

  ● 볼트, 너트의 재질

    ① 부식이 일어나지 않는 재질

    ② 빗물의 투습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캡을 씌울 것

    ③ 고장력 볼트, SUS 재질 등

 

  ● 어레이 가대 설계 순서

    ① 설치장소 결정 > ② 태양전지 모듈의 배열 결정 > 지지대의 형태, 높이, 구조 결정 > ④ 상정최대하중 산출 > ⑤ 가대의 기초부 설계

 

  ● 상정하중

구  분 내  용
수직
하중
고정하중
(자중 + 적재하중)
어레이 + 프레임 + 서포트 하중
적설하중 경사계수 및 눈의 단위 질량 고려
활하중 건축물 및 공작물을 점유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하중
수평
하중
풍하중 어레이에 가한 풍압과 지지물에 가한 풍압의 합
풍력계수, 환경계수, 용도계수, 가스트계수 등을 고려
지진하중 지진층 전단력 계수 고려

    * 하중의 크기 : 폭풍 시 > 적설 시 > 지진 시

 

  ● 지지대의 구분

    ① 고정식 : 어레이 지지형태가 가장 값싸고 안정된 구조

    ② 경사가변식 : 수동으로 사계절에 한 번씩 어레이의 경사각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구조

    ③ 추적식

       ⓐ 추적 방향에 따른 분류

         * 단축 추적식(single axis tracking) : 태양전지 어레이가 태양의 한 축(상 하 또는 동 서)만을 추적하는 어레이

         * 양축 추적식(double axis tracking) : 태양전지판의 직달 일사량(direct radiation)이 항상 최대가 되도록 상 하, 동 서를 동시에 추적하는 어레이

       ⓐ 추적 방식에 따른 분류.

         * 감지식 추적법(sensor tracking) : 센서를 이용, 정확한 태양 궤도 추적이 어려움

         * 프로그램 추적법(program tracking) : 프로그램에 의해 태양의 위치 추적

         * 혼합식 추적법(mixed tracking) : 감지식 + 프로그램 추적법, 가장 효율이 높음

    ④ 발전량 생산효율 : 양방향 추적식 > 단방향 추적식 > 경사가변식 > 고정식 > BIPV

 

  ▷구조설계의 기본 방향

  ● 구조 설계법 적용의 원칙

    ① 콘크리트 구조설계 : 강도 설계

    ② 강구조 설계 : 허용응력 설계

    ③ 건축물 강구조 설계 : 하중저항계수 설계

 

  ● 구조물 설계 시 기본적인 고려사항

구  분 고  려  사  항
안정성 * 내진, 내풍 설계 및 최대 상정 하중 고려, 천재지변 대비
* 사용 중 돌발 상황, 유지보수 및 기타 발생 가능한 추가 하중 고려
* 하부의 기존 구조물의 안전성 고려
경제성 * 과다 설계 배제, 규모 및 현장 여건 고려
* 공사비의 절감이 가능한 공법 적용
시공성 * 부재의 재질, 접합 방법 등의 통일
* 규격화, 일관성 있는 시공 방법 선택
사용성 및 내구성 * 경년 변화, 지반의 상태, 환경 등을 고려한 설계

 

  ● 구조적 안정성 확보

     구조물의 안정성 확보 조건 : 허용응력 > 하중조합

    ② SS 275 강재의 경우 항복강도 235[N/mm^2]

    ③ 태양전지모듈과 프레임의 고정부, 프레임과 지지대, 지지대와 베이스 플레이트와 기초의 연결부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 확보(구조해석 프로그램, 구조계산서 확인)

    ④ 추적식의 경우 허가서류 제출 시 구조계산서 필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