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너지

신재생에너지 정의 및 종류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너지 전환 시대를 맞이하여 신재생에너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신재생에너지 정의
2. 신재생에너지 특징
3. 신재생에너지 종류


 전 세계적으로 많은 국가들이 탄소중립을 선언하며 청정 에너지 전환을 이룩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또한 2050 탄소중립을 실현하고자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주에너지원이 될 신재생에너지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1. 신재생에너지 정의 (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촉진법’ 제2조 )

 1) 신재생에너지 = 신에너지 + 재생에너지

 

 ① 신에너지 :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수소, 산소 등의 화학 반응을 통하여 전기 또는 열을 이용하는 에너지

  : 연료전지, 수소, 석탄액화 · 가스화 및 중질잔사유 가스화

 

 ② 재생에너지 : 햇빛, 물, 지열, 강수,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

  :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풍력, 수력, 해양, 폐기물, 지열

 

 

 2) 신재생에너지 중요성

 

  • 화석연료의 고갈로 인한 자원확보 경쟁 및 고유가의 지속 등으로 에너지 공급방식의 다양화 필요
  • 기후변화협약 등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청정에너지 비중 확대의 중요성 증대
  • 신재생에너지산업은 IT, BT, NT 산업과 더불어 차세대 산업으로 시장규모가 급격히 팽창하고 있는 미래 산업

2. 신재생에너지 특징

 1) 주로 자연을 이용한 에너지로 고갈될 우려가 적다.
 2) 오염 물질이나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어 환경친화적이다.
 3) 개발 초기에 투자 비용이 많이 들고, 경제성이 낮은 편이다.
 4) 비교적 지구상에 고르게 분포한다.
 5) 발전소를 건설할 때 자연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3. 신재생에너지 종류

1) 신에너지

 

  ① 연료전지(Fuel Cell)

 : 연료전지는 수소(천연가스, 메탄올, 석탄, 바이오매스)와 산소의 화학에너지를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직접 변환하는 발전장치로 열을 동시에 생산하는 기술이며, 발전효율이 30~40%, 열효율 40%이상으로 70~80%의 효율을 갖는 신기술 장치이다.

 

 

 

  ② 수소에너지(Hydrogen Energy)

 : 수소에너지는 무한정인 물 또는 유기물질을 변환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소를 생산하여 활용하는 기술로, 수소생산, 저장, 응용, 안전대책 등 많은 기술개발이 필요한 분야로 에너지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미래 수소시대에 대비한 신재생에너지분야라 할 수 있다.

  ③ 석탄(중질잔사유) 가스화 · 액화

  : 가스화 복합발전기술(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은 석탄, 중질잔사유 등 저급원료를 고온 · 고압의 가스화기에서 수증기와 함께 한정된 산소로 불완전연소 및 가스화시켜 일산화탄소와 수소가 주성분인 합성가스를 만들어 정제공정을 거친 후 가스터빈 및 증기터빈 등을 구동하여 발전하는 신기술이다.

 

2) 재생에너지

 

  ① 태양광(Photovoltaic) 발전

  : 태양광 발전은 태양의 빛 에너지를 변환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술로 햇빛을 받으면 광전효과에 의해 전기를 발생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다.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태양전지(Solar cell)로 구성된 모듈(Module) 고축전지 및 전력변환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② 태양열(Solar Thermal)

  : 태양으로부터 오는 복사광선을 흡수해서 열에너지로 변환(필요 시 저장)시켜 건물의 냉난방 및 급탕, 산업공정열, 발전 등에 활용하는 기술로 집열부, 축열부, 이용부, 제어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③ 바이오에너지(Bio-Energy)

  : 바이오 매스를 직접 또는 생 · 화학적, 물리적 변환과정을 통해 액체, 가스, 고체연료나 전기 · 열에너지 형태로 이용하는 화학, 생물, 연소공학 등의 기술을 일컫는다.

 ( 바이오 매스 : 태양에너지를 받은 식물과 미생물의 광합성에 의해 생성되는 식물체, 균체와 이를 먹고 살아가는 동물체를 포함하는 생물유기를 뜻한다.)

 

 

  ③ 풍력 · 해양 · 수력

   - 풍력에너지(Wind Power)

  : 바람의 힘을 회전력으로 전환시켜 발생되는 전력을 전력계통이나 수요자에게 공급하는 기술로 바람이 있는 곳은 어디서나 전력 생산이 가능하고, 설치가 용이 하며, 가격이 저렴하여 미래의 에너지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바람이 가진 에너지를 흡수, 변환하는 운동량 변환장치, 동력전달장치, 동력변환장치, 제어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해양에너지 (Ocean Energy)

  : 해양에너지는 해양의 조수∙파도∙해류∙온도차 등을 변환시켜 전기 또는 열을 생산하는 기술로써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에는 조력∙파력∙조류∙온도차 발전 등이 있다.

 

 

   - 수력발전 (Hydro Power)

  : 수력발전은 물의 유동 및 위치에너지를 이용하는 기술로 2005년 이전에는 시설용량 10MW이하를 소수력으로 규정하였으나 법개정으로 수력 전체를 신재생에너지로 정의하고 있다.

 

 

 

  ④ 지열 · 폐기물

   - 지열에너지 (Geothermal Energy)

  : 지열에너지는 물, 지하수 및 지하의 열 등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냉∙난방에 활용하는 기술로 태양열의 약47%가 지표면을 통해 지하에 저장되며, 이렇게 태양열을 흡수한 땅속의 온도는 지형에 따라 다르지만 지표면 가까운 땅속의 온도는 개략 10 ~ 20℃정도, 심부(지중 1~2㎞)는 80℃를 유지하므로 이를 활용하여 냉난방시스템에 이용하거나, 발전을 하게 된다.

 

   - 폐기물에너지 (Waste Energy)

  : 폐기물을 변환시켜 연료 및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로 사업장 또는 가정에서 열분해에 의한 오일화 기술, 성형 고체연료의 제조기술, 가스화에 의한 가연성 가스 제조기술 및 소각에 의한 열회수 기술 등의 가공∙처리 방법을 통해 고체연료, 액체연료, 가스연료, 폐열 등을 생산하고, 이를 산업생산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 재생에너지이다.

[출처] 한국전력 공식홈페이지

 


이상으로 "신재생에너지 정의 및 종류"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