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기품질 유지 → 매년 1회 이상 측정
· 한국전력거래소 - 주파수
· 배전 / 전기판매 사업자 - 전압
· 발전 / 송전 사업자 - 전압 및 주파수
2. 중앙 집중형 인버터 방식
ⓐ 고전압 방식
ⓑ 저전압 방식
ⓒ 마스터 - 슬레이브 방식
3. 환경영향평가를 받아야 하는 발전시설 용량
10만 킬로와트 이상
4. 태양광발전시스템 설치용량 = (연 부하소비전력량 * 의존율 * 설계여유계수) / {(연 일사량 / 일조강도) * 종합설계계수}
5. 전기공사업 등록증 및 등록수첩 발급자 → 시·도지사
6. 중요사항 변경이 아닌 것 : 사업자 변경
7. 신재생에너지 정책심의회의 심의사항이 아닌 것 :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 에너지 기본계획 및 지속가능 발전 기본계획에 관한 사항
8. 태양광 설치장소 선정시 고려사항이 아닌 것 : 설치장소의 고도 및 기압
9. 신재생에너지 확대 보급을 위해 체결한 협약 : RPA
10. 이차압밀침하 → 일차압밀침하 완료 후의 시간·침하관계곡선의 기울기 적용 계산
11. 착공신고서 포함사항이 아닌 것 : 관계자 회의 및 협의사항 기록대장
12. 전기울타리 : 다른 시설물 · 수목과의 이격거리 0.3 [m] 이상일 것.
13. 부분중지 → 경고 2회 이상, 시정지시 3회 이상
14. 감리용역 계약문서가 아닌 것 : 설계도서
15. Hybrid 분산형전원 변동빈도 정의 : 순시전압변동률 3 [%] 적용
16. 실시설계 성과물이 아닌 것 : 공사비 내역서, 용량계획서, 시스템 선정 검토서 → 기본설계 성과물
17. 저압가공전선 지지물 → 목주인 경우 풍압하중의 1.2배
18. 안정계수 S = △컬렉터 전류 / △누설전류
19. 고장력 볼트의 조임길에 더하는 길이
M16 | 30 [mm] |
M20 | 35 [mm] |
M22 | 40 [mm] |
M24 | 45 [mm] |
M27 | 50 [mm] |
M30 | 55 [mm] |
20. 주파수계 오차계급 : 2.5급 이하 (지시범위가 좁기 때문에)
21. 금속관 콘크리트 매입 → 1.2 [mm] 이상 (그외 1 [mm] 이상)
22. 덕트 개구부는 아래로 향하여 시설한다.
23. 송전전력 = (송전전압 * 수전전압 * sin∮) / 리액턴스
24. 계측기구 및 표시장치의 설치목적 : 홍보, 운전상태 감시, 전력량, 기기·시스템 종합평가
25. 부싱에는 레일 또는 스토퍼가 없다.
26. 용량별 점검횟수 (정기점검)
저압 | 1 ~ 300 [kW] 이하 300 초과 |
월 1회 월 2회 |
고압 | 1 ~ 300 [kW] 이하 300 ~ 500 500 ~ 700 700 ~ 1500 1500 ~ 2000 2000 ~ 2500 |
월 1회 월 2회 월 3회 월 4회 월 5회 월 6회 |
27. 병렬저항 ↓ : 누설전류 ↑
28. 용량환산시간(K)을 구하기 위해 필요한 값이 아닌 것 : 보수율
29. PN접합 태양전지 발전원리 : 광흡수 → 전하생성 → 광분리 → 수집
30. 설치공사시 필요한 발전소의 출력
ⓐ 인가 : 출력 1만 킬로와트 이상
ⓑ 신고 : 출력 1만 킬로와트 미만
31. 경미한 전기공사 : 벨 소형변압기(2차측 전압 36 [V] 이하의 것으로 한정)의 설치공사
32. 집적화단지 개발계획 포함사항이 아닌 것 : 부지판매계획
33. 개발행위허가 기준 → 용도지역별 개발행위의 규모 및 건축제한기준에 적합할 것
34.인버터의 계통보호 기능 : 단독운전 방지기능 + 자동전압조정기능
35. 공사시방서 기재사항이 아닌 것 : 주요 기자재의 납기일(주요 기자재 납풍 승인시에 명기)
'에너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광기사 필기 기출 정리 #3 (0) | 2023.02.25 |
---|---|
태양광기사 필기 기출 정리 #2 (0) | 2023.02.24 |
태양광기사 필기 기출 #22년 1회 (1) | 2023.02.20 |
태양광기사 필기 기출 #22년 2회 (0) | 2023.02.19 |
태양광기사 필기 기출 #22년 4회 (1) | 2023.02.18 |